JIN Yunhui
About
There were once goddesses on this land who watched over us, whose names have been forgotten. From the creator Magohalmi, to the mountain mother Jeongyeommoju, to the protector Seosulseongmo, to the giant Seolmundaehalmang, the indigenous goddesses of Korea have left their mark everywher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hen the goddesses were still powerful, the Gaya people made offerings on the earthenware with sincere prayers and buried them in their graves hoping for a better afterlife. I feel that the goddess culture and the Gaya earthenware, buried underground and lost to history, are calling to us again at this moment.
In the soft curves of the Gaya earthenware, I see the body of a woman. Tuchang (perforations), then, would be the hole in a woman's body, the place where humanity originated, the goddess's sacred “sex hole”, once considered a source of fertility. For us in modern times, accustomed to the objectified female body, this view is uncanny, even frightening, like a ghost rising from the grave. I want to capture the spirit that roams around the traditional Gaya earthenware and give it a modern body. I want to return the misogynistic body images that are deeply embedded in our bones back to the primordial clay and mold ourselves into something new and whole.
While retain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raditional Gaya earthenware, such as the Gupdari (mount), Tuchang (perforations), and natural earthy colors, I refined the coarseness to add modern sophistication as an earnest tribute to the goddesses. The smooth surface is achieved by firing and then polishing the clay originating from the earth goddess, and is intended to give the viewer a flesh-like, intimate touch. Through this work, I hope to show the origin of the world in the form of a goddess, while reviving the goddess culture and the Gaya earthenware that has been lost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with my reinterpretation.
우리는 이름조차 잊었으나,
한때 이 땅에도 우리를 굽어살피던 여신들이 있었다.
태초 어머니 마고할미부터 산신 정견모주, 시조신 서술성모,
거인신 설문대할망까지 한국 토착 여신은 곳곳에 흔적을 남겼다.
나는 그 흔적을 찾으려 가야토기에 주목했다.
여신이 아직 위세를 떨치던 삼국시대의 가야인들은
토기에 간절한 바람을 담아 제사를 올렸고,
내세를 바라며 토기를 무덤에 껴묻기도 했다.
나는 땅속 깊이 파묻혀 명맥이 끊긴 여신 문화와 가야토기가
이 순간 다시 우리를 부르고 있다고 느낀다.
가야토기의 부드러운 곡선에서 나는 여성의 신체를 본다.
그렇다면 투창은 여자의 몸에 뚫린 구멍, 인류가 기원한 곳,
한때 풍요의 원천으로 여겨졌던 여신의 성혈性穴이 될 것이다.
대상화된 여성 신체에만 익숙한 현대의 우리에게 이런 시각은 낯설고,
무덤에서 뛰쳐 나온 유령처럼 두렵기까지 하다.
나는 전통적인 가야토기에 감도는
그 혼을 붙잡아 현대의 몸을 주고자 한다.
우리 뼛속 깊이 자리 잡은 여성 신체 혐오를 태초의 흙으로 돌려,
우리 자신을 온전한 새것으로 빚고자 한다.
기존 가야토기의 특징인 굽다리와 투창, 자연스러운 흙의 색감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여신에게 최선을 바치는 마음으로
투박함을 가다듬어 현대적 세련성을 더했다.
대지 여신의 태토를 연마한 매끄러운 표면은
관객에게 살결처럼 친밀하게 가닿기를 바라는 의도다.
이 작품을 통해 세상의 기원을 여신의 모습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가야토기를 재해석하여 삼국시대 이후 끊긴 여신 문화와
가야토기의 명맥을 다시 이어나가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