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Haneul
About
The Goryeo Dynasty was a period of high cultural sophistication which perfected high quality tea and celadon teapots and spread to the aristocracy, monks, and bureaucrats. The Goryeo royal family held jinda ceremonies for important events such as various ceremonies, banquets, palace receptions, and receptions for foreign envoys. With the spread of tea culture, tea utensils naturally developed, and various types of celadon wans, cups, and jujas were loved by the people of the time as they enjoyed drinking tea. Also the Goryeo people developed inlaid techniques that allowed them to fully express their aesthetic sensibilities, creating a richer celadon culture.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passion and discernment of the people of the Goryeo Dynasty for tea, you will naturally get a glimpse of how to properly utilize tea.
An interesting aspect of this process is that the color, taste, and aroma of the tea can vary greatly when the same tea is brew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The functionality of these teapots can be evaluated not only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tics but also by their form. Samsu-sampyeong(三水三平) and samsu(三水), which stands for chulsu(出水), jeolsu(切水), and dansu(禁水), is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formal function of a tea bowl. Based on the material and formal functionality, I aim to produce a tea bowl that is easy to use even in modern times by utilizing various colorful decorative techniques of Goryeo craftsmen.
고려시대는 질 높은 명차와 청자 찻그릇을 완성했고, 귀족층·승려·관료 문인으로 확산된 음다층의 문화적 수준이 높았던 시대이다. 고려 왕실에서는 각종 행사와 연등회·팔관회, 외국 사신을 맞이하는 자리 등 중요 행사마다 진다 의식을 함께하였다. 차 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자연스럽게 다도구가 발달하게 되었고 여러 가지 형태의 청자 완과 잔, 그리고 주자는 차를 마시는 것을 즐겨 했던 만큼 당시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려시대 사람들은 그들의 미감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상감 기법을 발전시켜 더욱 풍부한 청자 문화를 일구었다. 고려시대 사람들의 차에 대한 열정과 안목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차의 올바른 활용법을 엿볼 수 있다.
차를 달이는 행위에서 흥미로운 점은, 같은 차를 같은 조건에서 다구를 달리하여 차를 우려낼 때 차의 색상과 맛과 향 모두 큰 차이를 내는 것이다. 이러한 다구의 물질적 특성뿐만 아니라 형태적 측면에 의해서도 기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삼수삼평과 출수·절수·단수를 뜻하는 삼수는 다관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형태적 기능이다. 물질적·형태적 기능성을 기반으로 고려청자의 다양하고 화려한 장식 기법을 활용하여 현대에도 사용에 용이한 다기를 제작하고자 한다.